불교

불교박물관 법보전(경전과 사리장엄구)에 국보와 보물의 많은 경전

백합사랑 2008. 5. 13. 08:46

불교박물관에서는 2552년 부처님 오신날을 기념 부처님의 말씀 법보인 ,   경전의 목판본과 목판 등 국보와 보물 , 사리장엄구 등  특별전이  열리고 있음

 

 조계사 안에 있는 불교박물관에서 불교경전 특별전이 열리고 있는데  박물관 홀 안에 들어서자 황룡사 탑에 모셔졌던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친견할 수 있게 해주었다.

 

 전묘법륜---초전법륜의 변상

 

 

 

 

 석가여래유적도

조선 , 1673년. 갑사

 

 석가여래유적도의 구성

 클릭하면 크게보입니다!

 

 

 

 자상한 아빠와 똑똑한 딸! 

 

 

 

1700년의 역사를 지닌 한국불교에서 부처님의 말씀은 ,법보는 불교 초기부터 전래되었고 삼국시대 이후 조선시대까지 수많은 경전의 전래와  간행이 있었다.  우리나라 불교에서 법보는 사경 석경 목판인쇄 금속활자등으로 표현되었는데, 삼국시대의 불교경전은  전해오는 것이 없고 당시의 불교미술과 문헌을 통해서 확인 할 수 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많은 법보들이 중국을 통해 전래 되었고, 법보의 표현 형태도 다양하게나타나지만  전해지는 것은 많지 않다.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인 법보로는 백지묵서화엄경을 비롯해 세계최고의 목판 본으로 간주되는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비롯해 금강석경, 법화석경, 화엄석경 등이 있다.

 

고려시대의 법보는 대장경으로 대표된다고 할 수 있다 .

고려시대의 첫번째 대장경의 초조는 고려 제8대 왕인 현종 때에 거란의 침략을 불력의 가호로 극복하고자 한 것으로  현종 덕종 정종을 거쳐 문종대에 이르기까지 약 40여년에 걸쳐 대장경을 완성하였다.  이때에 완성된  대장경에는 모두 1,106부 1,048권에 수록되 있는데  이것을 초조대장경이라 한다.  이 초조대장경은 팔공산 부0사에 봉안 하였으나  고종18년(1231)  몽고군이 침입으로  소실되었다.

소실된 초조 대장경을 대신하기 위해 고종은 다시 대장경판을 만들기로 결심하고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재조대장경을 16년간에 걸친 노력 끝에 1251년 재조대장경을 완성하였다. 이 때에 기록된 모두 81,258판이었으며, 여기에 수록된 불교경전은 모두 1,512부 6.791권이나 된다.  재조 대장경은 현재 부인사 장경각에 봉안되어있으며 흔히 팔만대장경이라고 부른다.

이 밖에 고려시대에는 다양한 목판본과 세계최고의 금속활자본인 직지 등 뛰어난 인쇄술을 바탕으로 법보의 유통과 보급에 많은 힘을 기울였다.

 

조선시대에는 전기에는 왕실을 중심으로 한 언해본의 편찬이 간경도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조선후기에는 사찰을 중심으로  목판본의 판각이 이루어졌다.

 

-전시관에 있는 글을 옮겨오면서 誤字가 혹시 생겼을지 모릅니다. 틀린것이 있다면 알려주십시요-

 

 

화엄석경,  통일 신라 9세기,     보물 1040호 , 화엄사    클릭하면 크게보입니다!

통일신라시대의 법보

삼국을 통일 한 후 신라는 통일된 국가를 꾸리기 위해 새로운 사상이 필요하였고, 이러한 필요에 의해 대두된 것이 신라의 화엄사상이었다.  화엄은 자장에 의해 삼국통일 이전에 신라에 유입되지만 , 의상대사에 의해 자리 매김을 하게 된다.

통일신라시대의 법보로는 화엄석경과 법화석경, 금강석경 등 법에 영원함을 소망하며 제작한 석경 등과 751년 필사된 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등 한국불교에 있어 중요한 저작들이 편찬된다.

통일신라시대에는 돌에 경전을 새기는 석경을 비롯해 필사한 사경, 목판에 인쇄하는 목판본 등 금속활자 이전단계의 편찬방법이 모두 동원되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불교경전의  유통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초조본아비담비파사론 권 16   보물 1075호, 고려 11세기    클릭하면 크게보입니다!

 

 

 초조본십주비파사론 권 17,  보물 1206호 .  고려 11세기 , 가현박물관

 

 초조본대방광불화엄경주본 권 29  . 국보 257호 , 고려 11세기 구인사

 

 

 초조본대방광불화엄경주본 권 74 ,    국보 279호 , 고려 11세기 구인사

 

 왼쪽 경은  대반열반경.  오른쪽 것은 고려교장간기 , 1097년, 수덕사 근역성보관

 

 보살상의 목판

 

 

 

 

 초조본대방광불화엄경주본  권 13 ,  국보 265호 , 고려 11세기, 삼성출판박물관

 

초조대장경은 고려 현종 때(재위 1011~1031) 부처님의 힘으로 거란의 침입을 극복하고자 제작한 우리나라 최초의 대장경으로 불력에 의한 국가 수호를 도모하는 것이 제작의 직접적 동기이지만,고려의 불교적 역량이 반영된 국가적 사업이었다.  초조장경의 제작은 고려 성종대에 전래한 송의 개보판(開寶版)대장경과 국내에서 전래되어온 자료들을 바탕으로 착수되었고, 문종연간에는 새로 전래된 거란의 대장경까지  제작에 참고하였다. 그 규모는 대략 6천 권 정도의  분량으로서  당시의  한역대장경으로서는 동양에서 가장 방대한  분량이었다. 또한 여기에는 정교하게 새겨진 판화가 풍부해 미술사적 가치도  적지 않다.  대장경의 조판 작업은 흥국사, 귀법사 등 여러 사원에서  이루어졌으며 그 경판은 흥왕사  대장전에 한동안 보관되었다가  대구 팔공산의 부인사(符仁寺)로 옮겨졌다. 고종 19년 (1232) 몽고군의 침입으로 부인사에 있던 초조대장경이 소실되자 몽고와의 항전이라는  호국의   의지를 담아 대규모 작업을  다시 시도한 것이 흔히 팔만대장경이라고 불리는 재조장경의 각판이다.  

초조대장경의 판목은 없어졌으나 그 인쇄본이 국내의 여러 박물관과 일본 등지에 상당량 잔존하고 있으며, 그 수량은 도합 2천  여 권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법보전에는 국내에 있는 대방광불화엄경, 아비달마비바사론,십주비바사론 등 초조대장경  5점을 전시하고 있다.

    

 

 대방광불화엄경 제 1권 목판화와 목판

 

 

 

 불설豫수十王생경, 보물 743-3호 ,  고려 해인사

 

 

 

 석보상절 권 23 , 보물 523호 ,  조선 1447년 , 동국대학교도서관

 

 

 월인석보 10권 , 보물 745- 3호 , 조선 1459년 , 개인소장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보물 1502호 , 조선 1461년, 개인소장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 국보 212호 , 조선 1462년,  동국대도서관

 불설아미타경 언해 , 조선 1464년 , 개인소장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 조선 1472년,  개인소장

 

 목우자수심결언해, 조선 1467년. 개인소장

 

 법화삼매참법,  보물 1519호 , 고려말 , 개인소장

 

 금강경오가해 , 조선 개인소장

 

 

 부모은중경언해 , 조선 , 불암사

 

 부모은중경동판, 조선 , 용주사 효행박물관

 

 부모은중경, 조선 1796년,  개인소장

 

 남명천화상송증도가,   보물 758호 . 고려 , 삼성출판박물관

   

 

 대방광불화엄경소  권 41 변상. 보물 944호 . 고려,   관문사

 

 대방광불화엄경소,  조선 , 개인소장

    

 북장사 목조 연화문, 경장

 

 송광사 경패

 

 송광사 경패

 

 영산회상도

 

 영산회상도 목판

 

 상지은니묘법연화경 , 보물 390호 , 고려말 광덕사

 

 

 감지은니묘법연화경 , 보물   , 조선

 

 백지묵서묘법연화경 권 1~ 7 , 보물 278호 ,  조선 1415년, 내소사

 

 백지묵서묘법연화경 권 1~ 7 , 보물 278호  ,  조선 1415년, 내소사

 

 묘법연화경 권 1 변상도 , 보물 1145호, 조선 15세기 , 목아박물관

 

 추사김정희 필 사경 , 관음경,  조선 , 개인소장  

 

 

 

 은제 경통 , 오른쪽은 은제 경갑

 

 능화판 , 동국대학교 박물관

 

 

 목조경궤

 

 보광사복장 유물 다라니경

 

 보광사 복장유물 저고리  ,고려후기, 안동보광사

 

왼쪽 은제난형사리기, 통일신라 8세기. 경주 남산 출토, 일본 동경국립박물관관소장          * 오른쪽 은제보탑형사리기, 통일신라 8세기,경주 남산 출토, 일본 동경국립박물관 소장            

 

 금동원통형사리함 , 통일신라 8세기, 경주 남산 출토,  일본 동경국립박물관 소장            

 남석재소탑

 

 

 

 청동팔각당형사리장엄구 ,통일신라 , 황룡사지 출토 , 국립중앙박물관

 

 

 황룡사 찰주본기

 

 사리장엄구

31201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금강경 - 혜광스님  (0) 2008.06.11
오온성고(五蘊盛苦)  (1) 2008.05.27
부처님 오신날 조계사에서  (0) 2008.05.12
부처님 오신날 !  (0) 2008.05.12
법정(法頂)스님  (0) 2008.03.02